본문 바로가기
후기/일상

고양이는 불러도 오지 않는 이유

by 알고싶은 날개 2024. 9. 8.

고양이는 인간에게 매우 인기 있는 반려동물입니다. 그들은 독립적이면서도 애정 어린 성격으로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습니다.

고양이는 불러도 오지 않는 이유

고양이는 다른 반려동물, 특히 강아지와는 다른 행동 패턴을 보이며, 사람의 부름에 즉각적으로 반응하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행동은 고양이의 진화적 배경, 생리학적 특성, 그리고 행동 습성에 깊은 관련이 있는데요. 고양이를 키우거나 관심이 많은 분들은 아래 글을 통해 고양이라는 동물에 대해 좀 더 알아가시길 바랍니다.

고양이의 진화적 배경

고양이와 강아지의 가장 큰 차이점은 그들이 어떤 환경에서 진화했는가에 있습니다. 고양이는 약 9,000년 전 인간과 함께 살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이때도 고양이는 인간에게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먹이를 사냥하면서 독립적인 생활을 유지했습니다. 이는 고양이가 인간의 명령에 따르는 강아지와 달리, 독립적인 생존 본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0123

강아지(늑대의 후손)는 집단 생활을 하며 무리 내에서 상호작용하고 협력하는 동물로 진화했습니다. 그들은 리더를 따르며 명령에 응하는 습성을 가지고 있죠. 반면 고양이는 주로 단독 사냥꾼으로, 무리 없이 스스로 생존하는 방식으로 진화했습니다. 이러한 차이 때문에 고양이는 사람이 명령을 내렸을 때 그것을 따르기보다는 자신의 필요와 흥미에 따라 행동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고양이의 감각과 청각 반응

고양이는 매우 뛰어난 청각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들은 사람보다 더 넓은 주파수 대역을 들을 수 있으며, 멀리서 나는 소리도 쉽게 감지합니다. 특히 고양이는 먹이를 추적할 때 소리에 크게 의존하기 때문에 이 감각이 발달했습니다. 하지만 고양이가 사람의 부름에 바로 반응하지 않는 이유는 그들의 인지적 처리 방식에 있습니다.

0123

연구에 따르면, 고양이는 사람의 목소리를 인식하고 구별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고양이는 자신의 이름을 포함한 특정 소리를 인지할 수 있으며, 그들이 반응하지 않는다고 해서 그 소리를 듣지 못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들은 단지 그 소리에 응답할 필요를 느끼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고양이가 자신의 필요에 따라 반응하는 동물임을 보여줍니다.

그러니까 분명히 들리는 데도 필요하지 않다면 반응하지 않는 것이라고 할 수 있죠.

고양이의 행동 습성

고양이는 강아지와 달리, 사람의 명령에 즉각적으로 따르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독립성을 유지하려는 경향이 강합니다. 이는 그들이 진화적으로 독립적인 생활 방식을 선택했기 때문입니다. 고양이는 주로 자신의 흥미에 따라 행동하며, 주인의 부름에 반응할지 말지를 스스로 결정합니다. 이들은 때로 사람과의 상호작용을 원하지만, 강아지처럼 끊임없이 주인에게 복종하려는 욕구는 없습니다.

또한, 고양이는 강아지와 달리 훈련에 대한 반응이 제한적입니다. 강아지는 명령을 통해 보상을 받는 시스템에 익숙하지만, 고양이는 보상에 대한 기대보다 자신이 느끼는 흥미와 필요가 더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고양이는 보통 자신이 원할 때 주인과 교류하고, 원하지 않을 때는 독립적인 행동을 보입니다.

고양이와 강아지의 사회적 상호작용 비교

강아지는 주로 무리 내에서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하는 사회적 동물입니다. 그들은 리더의 지시를 따르는 방식으로 행동하며, 인간을 그 리더로 인식할 때가 많습니다. 따라서 강아지는 주인의 명령에 잘 반응하고, 명령을 따르는 훈련을 통해 더 많은 상호작용을 할 수 있습니다.

반면 고양이는 무리 생활보다는 혼자 있는 것을 선호하며, 사회적 상호작용보다 자신의 자율성을 중시합니다. 이들은 인간과의 상호작용을 즐기기도 하지만, 강아지처럼 복종적인 형태가 아닌, 평등한 관계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고양이가 사람의 부름에 즉각 반응하지 않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0123

고양이가 사람의 부름에 반응하지 않는 것은 그들의 진화적 배경, 독립적인 생존 방식, 그리고 행동 습성 때문입니다. 고양이는 강아지처럼 무리 생활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명령을 따르는 본능이 발달하지 않았으며, 그들의 행동은 주로 자신의 흥미와 필요에 따라 결정됩니다. 따라서 고양이가 사람의 말을 못 알아듣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굳이 반응할 필요를 느끼지 않는다는 것이 과학적으로 분석된 이유입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하늘은 왜 파란색일까?!-과학적 이유

파란 하늘을 보면 마음이 편해집니다. 아무 생각없이 하늘을 올려다 보고는 파란 하늘을 보게되는데요. 우리 모두 당연히 하늘은 파란색이라고 인식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문득 왜 많고 많은

jalsalabose90.tistory.com

 

댓글